글번호
686964

[2023] 결혼이주여성 대상 한국어교육에서의 이러닝 적용을 위한 인식 조사 / 박은서

작성자
대학원_에듀테크학과
조회수
581
등록일
2024.01.19
수정일
2024.01.19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 대상 한국어 교육에 이러닝을 적용하기 위해 결혼이주여성의 이러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데 있다. 우리나라의 결혼이주여성과 다문화가정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2022년 기준 결혼이민자의 수가 17만 명을 넘어섰다. 결혼이주여성들에게는 한국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 한국어 교육이 그 누구보다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전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을 통해 한국어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도 여느 교육계와 마찬가지로 코로나 19를 거치며 잠정 중단되거나 비대면으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대면 수업에서의 교재와 수업방식 그대로 온라인 플랫폼으로만 변화되었다. 결혼이주여성들에게도 이러닝을 통한 한국어 학습이 시간적, 장소적 제약을 해결하면서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라고 생각에서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결혼이주여성 대상 한국어교육에서의 이러닝 적용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결혼이주여성 학습자들이 이러닝을 받아들이고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이러닝에 대한 인식 조사를 진행하여 이들 대상 한국어 교육에 이러닝을 어떤 접근 방법과 방향으로 적용할 수 있을지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 대상은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을 통해 한국어 수업을 받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이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하여 전문가 5명에게 타당성 검증을 마친 후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은 2023.04.21.~2023.05.26.까지 진행했다.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중 무작위 88명의 응답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한 곳의 배포된 15개의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 4개를 제외하고 11개의 응답을 데이터로 분석했다. 수집한 자료는 SPSS Statistic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은 이러닝으로 한국어 학습을 하는 것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갖고 있으며 이러닝 경험이 있는 결혼이주여성들 역시 만족도가 높았다. 이러닝에 대해서는 인터넷을 통해 혼자 공부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는데, 이로 인한 의견과 요구사항이 다양했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이러닝 한국어 학습 콘텐츠 제작 시 한국인 강사의 녹화 수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시간 수업을 더 선호한다는 소수의 의견도 반영하여 원하는 수업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러닝 한국어 교육 과정 설계 시, 말하기-쓰기-듣기-읽기-문화수업 순으로 수업을 제시하고 교재는 e-Book으로 제공하되 자유롭게 다운 받아 인쇄도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에서 이러닝을 적용하기 위한 방향성과 방법을 논의할 수 있었다.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도서관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nou/200000697158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