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686968

[2023] 학습참여 관점에서의 이러닝 학습동기 지수 개발 / 박정현

작성자
대학원_에듀테크학과
조회수
570
등록일
2024.01.19
수정일
2024.01.19

초록

이러닝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스스로 학습에 참여하고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인 학습동기가 중요하다. 기대가치이론과 자기조절학습이론에 따르면 학습자는 학습동기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에 더 많이 참여한다. 따라서 학습에 참여하는 관점에서의 성공적인 이러닝을 위해서는 먼저 학습자의 동기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해야 한다. 기존의 학습동기 측정 도구는 학습동기 수준의 판단기준을 알기 어렵고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동기 수준을 간결하고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학습동기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학습동기 지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동기이론을 바탕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학습동기의 구성요소로 학습가치, 비용, 인지조절, 일정관리를 도출하였고, 네 요소가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용으로 제작된 영어 어원 학습 프로그램과 설문조사로 실험을 구성하였고, 이를 MoodleCloud에 구축하여 학습자의 학습참여를 측정하였다. 실험참가자 56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를 SPSS로 분석하였다. 먼저 설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후,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한 후 학습참여에 미치는 학습동기 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가치와 일정관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에 대한 가치를 높게 인지할수록, 학습자 스스로 일정관리 능력이 있을수록 학습에 더 참여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결과를 회귀식으로 표현하였고, 회귀모델로 산출된 예측값을 정규화하여 이러닝 학습동기 지수를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 도출한 이러닝 학습동기 지수를 활용하여 학습제공자는 학습자 특성에 적합한 이러닝 학습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습가치와 일정관리가 학습참여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는 본인의 학습참여 가능 여부를 스스로 점검할 수 있고, 학습제공자는 학습자의 참여를 촉진하는 데 필요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도서관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nou/200000697102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