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설목적
- 언어학 일반과 한국어에 대한 축적된 지식을 학습하여 올바른 언어사용 능력을 배양합니다.
- 한국문학의 전통과 현재적 가치를 이해하고 문학 감상 및 평가 능력을 기릅니다.
- 한국문학 전반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학습하고 언어문화 창조에 이바지합니다.
교육내용
분야 | 주요내용 | 해당 교과목 | |
---|---|---|---|
국어학 | 국어학 일반 | 국어학의 여러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 | 국어학개론 |
음운론 | 국어 음운체계와 음운현상에 대한 학습 | 소리와발음 | |
문법론 | 국어 문장 구조에 대한 이해와 분석 | 우리말의구조 | |
의미론 | 국어 어휘 및 문장의 의미에 대한 학습 | 언어와의미 | |
변천사 | 국어의 역사적 변화에 대한 학습 | 중세국어의이해 | |
우리말의역사 | |||
국어 규범 | 올바른 국어 생활을 위한 규범 | 언어와생활 | |
맞춤법과표준어 | |||
한국어 교육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방법 | 한국어교육학개론 | |
고전문학 | 국문학 일반 | 국문학의 여러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 | 고전의이해와감상 |
국문학사 | 국문학의 역사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 | 국문학의역사 | |
고전시가 | 고전시가에 대한 이론 습득과 강독 | 고전시가론 | |
고전의장면과표현 | |||
고전소설 | 고전소설에 대한 이론 습득과 강독 | 고소설론과작가 | |
고전소설강독 | |||
구비문학 | 구비문학 유산에 대한 폭넓은 이해 | 구비문학의세계 | |
한문학 | 한문으로 이루어진 고전들에 대한 강독 | 우리어문학과한자한문 | |
한국한문학의이해 | |||
현대문학 | 문화사 | 현대문학과 문화사 전반에 대한 이해 | 한국문학과대중문화 |
문학사 | 현대문학의 역사에 대한 포괄적 이해 | 근현대문학사 | |
시 | 현대시에 대한 이론 습득과 작품 분석 | 현대시의이해와감상 | |
현대시론 | |||
소설 | 현대소설에 대한 이론 습득과 작품 분석 | 현대소설의이해와감상 | |
현대소설론 | |||
비평 | 비평의 이론과 실제 및 흐름 이해 | 문학비평론 | |
희곡 | 희곡의 역사와 이론에 대한 학습 | 한국희곡론 | |
북한 문학 | 북한 문학과 사회 전반에 대한 이해 | 문화통합론과북한문학 | |
언어와 문장 | 문장 | 실습을 통한 문장력 배양 | 글쓰기 |
글과생각 | |||
작품 창작 | 창작론 | 시·소설 창작의 과정과 실제 | 시창작론 |
소설창작론 |
졸업 후의 진로
- 본교 문예창작콘텐츠학과를 비롯하여 관련 대학원에 진학할 수 있습니다.
- 언론사, 출판·광고업계, 기업체 홍보부서 등에서 일할 수 있습니다.
- 자격획득을 통해 한국어 교사, 독서지도사, 문예지도사, 문학관 학예사, 작가 등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세계 속에서 우리 민족 고유의 특성과 차이를 근간으로 경쟁력을 키워 나가는 국어국문학과는 한국문화의 정수를 이루는 국어학, 고전문학, 현대문학, 언어와 문장, 작품 창작 등 실제적인 교육과정으로 세계문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졸업 후 문학계는 물론 언론계와 출판계, 광고계와 교육계 등 사회 전 분야에서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