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설목적
- 인구집단의 건강 및 질병을 관리하는 법과 제도, 정보, 프로그램 등을 학습함으로써, 인간의 건강을 보호·증진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
- 오염물질의 발생 및 거동, 이로 인한 환경매체(media)의 오염과 정화기술 등을 학습함으로써, 환경과 인간의 공존을 가능케하는 능력을 배양함
- 중대재해 등 산업재해에 대한 사고·위험을 관리하고, 직업병 유해요인의 식별, 평가 및 관리 등을 학습함으로써, 보건관리자 및 안전관리자로서의 능력을 배양함
교육내용
보건환경안전기초 분야
- 보건환경안전학을 학습하는 데 필요한 자연과학의 기초 지식 학습
- 관련내용: 환경보건학개론, 환경화학, 환경생화학, 환경미생물학, 조사방법론, 보건통계학
환경관리 분야
- 물, 공기, 토양, 지하수 오염을 예방·관리하여 인간과 생태계 보호를 위한 원리 및 기술 학습
- 관련내용: 환경과대체에너지, 생활폐기물관리, 수질관리, 실내공기오염관리, 수질시험법, 대기오염관리, 상하수도관리, 유해폐기물관리, 용수및하폐수처리, 토양지하수관리
보건관리분야
- 인간의 건강을 유지·증진시키며, 건전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지식 및 정보, 프로그램 학습
- 관련내용: 공중보건학, 보건의사소통, 보건행정, 보건프로그램개발및평가, 건강보험론, 병원경영학, 환경보건역학, 보건교육, 노인복지론, 식품위생학, 보건교육방법론, 보건교육실습
산업안전보건관리 분야
-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근로자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원리와 기술 학습
- 관련내용 : 산업보건학, 산업안전, 작업환경측정, 작업환경관리, 건설안전보건, 산업독성학
졸업 후 진로
취업
- 환경관리 분야 : 환경오염방지 시설 업체, 환경설계 용역업체, 대기업 및 중견기업의 환경관리 부서, 환경영향평가 기관 환경관리 컨설팅 및 연구기관,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환경부, 한국환경공단, 국립환경과학원, 지자체 및 산하 환경관련 기관 등), 환경관련 비영리단체(NGO)
- 보건관리 분야 : 병원·보건 관련 직종, 건강 증진·관리 관련 직종, 대기업 및 중견기업의 보건관리 부서, 보건관리 컨설팅 및 연구기관,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지자체 및 산하 보건관련 기관 등)
- 산업안전보건관리 분야 : 건설·조선·화학플랜트 산업 등의 보건관리자·안전관리자, 대기업 및 중견기업의 산업안전보건관리 부서, 산업안전보건 컨설팅 및 연구기관,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고용노동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화학물질안전원, 지자체 및 산하 산업안전보건관련 기관 등)
자격증/면허증 취득
- 환경관리 분야 : 수질, 대기, 토양, 폐기물 기사 등
- 보건관리 분야 : 보건교육사(2급·3급), 위생사, 산림치유지도사(2급), 사회조사분석사(2급) 등
- 산업안전보건관리 분야 : 산업위생관리, 산업안전, 건설안전 기사 등
대학원 진학
- 환경관리 분야 대학원 : 환경공학, 환경보건, 토목환경공학 등
- 보건관리 분야 대학원 : 보건학, 환경보건, 안전보건 등
- 산업안전보건관리 분야 대학원 : 산업안전, 산업보건, 산업환경 등
최근 보건 및 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계속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2022년 「중대재해처벌법」의 시행으로 산업현장에서의 안전 문제도 큰 이슈로 떠오르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학과는 보건·환경·안전 분야의 통합적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보건 및 환경분야를 넘어 안전분야까지도 중심축으로 하는 종합적인 학문영역을 다루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가와 사회에 기여할 보건환경안전 전문가를 양성·배출하고 있습니다.
졸업 후에는 보건·환경·안전 대학원, 대기업 및 중견기업의 보건·환경·안전관리 부서, 보건의료기관, 환경관리기관, 건설·조선·화학플랜트 산업 등의 보건관리자 및 안전관리자, 보건·환경·안전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 보건·환경·안전관리 컨설팅 및 연구기관 등으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